전체 목록 (179) 썸네일형 리스트형 정미일주론 © sarahreneewolfe, 출처 Unsplash정미일주의 정(丁)은 오행으로 화(火)에 배속된다. 밖으로 잘 드러내지 않지만 열정이 있는 음(陰)의 화(火)이다. 정화는 한여름, 한낮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삶에 에너지가 넘친다. 하고 싶은것이 많다. 성격이 밝고 활동적이다. 예의가 바르고 희생 봉사정신이 있다. 정화는 촛불, 달, 별, 모닥불등으로 비유하기도 한다. 정신적인 세계에 관심이 많으면서도 현실감각이 있다. 겨울이나 밤에 태어난 정미일주는 겨울밤의 난로의 모습이니 남을 잘 배려하고 마음이 따뜻하다. 정미일주의 미(未)는 오행으로 토(土)에 배속된다. 소극적이고 겁이 많고 예민한 음(陰)의 토(土)이다. 미토는 띠동물로 양에 해당된다. 양은 눈이 잘보이지않아 잘 속고 방향감각도 없어면서.. 무신일주론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무신일주의 무(戊)는 오행으로 토(土)에 배속된다. 스케일도 크고 추진력도 있는 양(陽)의 토(土)이다. 토(土)는 땅의 기운을 갖고 있다. 땅은 무엇이 심겨져 있느냐로 평가 받는다. 목(木)이 있으면 좋다. 무신일주에게 목(木)은 관성이다. 무신일주는 절제력과 자제력을 갖추고 있으면 크게 성공할수 있다. 밖으로 발산의 기운이 강해 바깥 주변 사람들에게는 잘하지만 배우자나 가족에게는 대충하는 성향이 강하다. 가진게 없어도 자만심이 강하고 허세와 허풍이 있다. 싫은소리를 듣지 못한다. 무신일주의 신(申)은 오행으로 금(金)에 배속된다.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양(陽)의 금(金)이다. 신(申)은 초가을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가을은 성장을 멈추고 결실을 시작한다.. 기유일주론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기유일주의 기(己)는 오행으로 토(土)에 배속된다. 예민하고 세심한 음(陰)의 토(土)이다. 토(土)를 가색(稼穡)이라 하여 뿌릴가, 수확할 색의 한자를 쓴다. 땅의 기운을 갖고 있어 만물을 생장시키고 수확한다. 확산하고 팽창하려는 기운을 멈추게 하여 실속을 챙기려는 성정이 있다. 계절과 계절을 잇는 환절기 역할을 토(土)가 한다. 중개적인 역할을 잘한다. 총무로 적임자이다. 서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잘하기에 매매, 알선, 보관등과 인연이 깊고 신용이 좋다. 기유일주의 유(酉)는 오행으로 금(金)에 배속된다. 소극적이지만 집요함이 있는 음(陰)의 금(金)이다. 유금은 띠동물로 닭이다. 닭은 먹이를 쪼아먹고 땅을 파헤치기를 좋아한다 하여 조사하고 분석하는일.. 경술일주론 - 괴강살 © lepipotron, 출처 Unsplash경술일주의 경(庚)은 오행으로 금(金)에 배속된다. 과단성있고 추진력있는 양(陽)의 금(金)이다. 경금은 초가을의 기운이다. 초가을의 기운은 성장을 멈추게 하고 열매를 만들게 한다. 과정보다는 결과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한번 결심한것은 끝까지 밀어붙이는 성향이 있다. 경금을 다듬어지지 않는 원석이나 철광석에 비유한다. 거칠어 보이지만 순수함이 있고 다루기 쉽다.의리가 있어 물질적인 유혹에는 잘 넘어가지 않으나 정(情)에는 약하다. 경술일주의 술(戌)은 오행으로 토(土)에 배속된다. 적극적이고 포용력이 있는 양(陽)의 토(土)이다.술토는 늦가을의 기운을 갖고 있다. 수확이 끝난 황량한 들판의 모습이라 실속이 없다. 술토는 띠 동물로 개이다. 충직하며 의리와.. 일간으로 본 천간별 품성 © geralt, 출처 Pixabay 1) 갑 일간 온순하고 열정이 있으며 성실하여 말이 적고, 생각하는 바가 깊으며, 자존심을 소중히 여기고, 사물에 대하여 연구심이 풍부하다. 초봄의 기운인 생동력이 있다. 어린아이 처럼 돌발적인 행동도 잘하고 순수하지만 어리숙함도 함께 있다. 때로는 객기를 부리는 기분파이기도 하다. 늘 시작은 잘하지만 마무리가 부족하다. 독립하려는 욕망이 강하고 간섭 받기를 싫어한다. 선두에 서려는 마음과 인정 받고 싶은 욕망이 강한 욕망이 현실적 성취로 이어진다. 부모의 도움없이 자수성가하는 사람도 많지만 쉽게 포기하는 사람도 많다. 2) 을 일간 활동하려고 노력은 하나 비교적 진취적인 기개가 모자란다. 가끔 다른 사람과 마찰을 일으켜서 마음의 흔들림이 많다. 갑목과 같은 .. 일간으로 본 오행별 품성 © qimono, 출처 Pixabay 1) 목 일간 목의 품성은 원래 어질고 자애로운 성질이다. 다른 오행의 기운과 조화를 잘 이루며, 남을 동정하여 도우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 그러나 목의 기운이 강하면 무탈함과 편안함만을 추구한다. 목은 어린 아이와 같은 호기심이 가득하고 앞뒤 가리지 않고 시작하려는 기운이 있다. 추진력이 강하다. 시작은 늘 많지만 결실 맺기가 힘들다. 2) 화 일간 화의 품성은 조급하고 세차며 맹렬하게 타오르는 성질이다. 예절과 질서를 알며 명랑하고 악의가 없다. 도리에서 벗어나지 않고 치우치지 않는 성향이 있기에 주변 사람들을 가르치려 든다. 화의 성질은 열과 빛이다 빛은 주변을 환하게 하며 어둠을 쫓아낸다. 불의를 참지 못하며 어둠을 빛으로 고치려 한다. 불은 어디로 번.. 계축일주, 계묘일주, 계사일주, 계미일주, 계유일주, 계해일주 사주 [무료사주] © USAGI_POST, 출처 Pixabay -. 계축은 백호대살에 해당한다. -. 육친으로는 계수를 축토가 극하므로 편관에 해당한다. -. 축은 화개살에 해당하며, 띠 동물로는 소이다. -. 은근한 고집과 끈기가 있으며 추진력과 용기가 있다. -. 사람을 가려 사귀는 타입으로 좋은 사람과 싫은 사람의 구분이 명확하다. -. 믿음직스럽고 조용한 성격으로 남들로부터 칭찬받으며 선량한 사람으로 평가받는다. -. 남들에게 뒤처지는 것을 싫어하고 끝까지 일을 완벽하게 해낸다. -. 계와 묘는 모두 도화살에 해당한다. -. 육친으로는 계수가 묘목을 생하므로 식신에 해당한다. -. 묘는 도화살에 해당하며, 띠 동물로는 토끼이다. -. 융통성이 있고 안정적이며 중후한 성격이다. -. 재주가 많고 능력이 있으며 머.. 임자일주, 임인일주, 임진일주, 임오일주, 임신일주, 임술일주 사주 [무료사주] © PublicCo, 출처 Pixabay -. 임자는 양인살에 해당하며, 임과 자는 모두 수이다. -. 육친으로는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르므로 겁재에 해당한다. -. 자는 도화살에 해당하며 띠 동물로는 쥐이다. -. 매사에 의욕적이고 진취적이다. -. 재주가 있고 끼가 넘치며 명예를 소중히 한다. -. 고집이 너무 세어 한번 화가 나면 앞뒤를 가리지 않는다. -. 속이 깊고 과묵한 성격이지만 일단 말을 하면 논리정연하고 통솔력이 있다. 포용력이 있고 지구력이 매우 강하다. -. 능력있고 재주가 많은 사람으로 평가 받는다. 기능인이나 전문직에 종사하면 크게 명성을 떨치지만 한번 화가 나면 격노하기 쉬운 기질때문에 일을 망칠수 있다. -. 인목이 자신을 생하는 임수에 기대려는 경향이 강하다. -. 육친으..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다음